What is the Way (Path) of Sword?
Martial arts practitioners often talk about the way of the sword or the path of martial arts,
discussing sword techniques and physical training,
but they also frequently apply it to mental training and connecting to the spiritual world.
Earlier today,
someone on Facebook talked about the techniques of swordplay during an overseas seminar,
trying to sound more knowledgeable by mixing English into the conversation.
Some describe martial arts practice as a way to escape reality
and reach a profound and mysterious understanding through physical exertion.
While the above story is not wrong,
if you can understand the “basics by the principle of nature” more clearly,
it can be an opportunity to further develop yourself.
Based on my experience and thoughts, I will briefly explain it as follows.
“The Way of the Sword (검의 길)” refers to the path of practice (무예의 길),
which leads to the realization of the essence of “the sword of the mind (심검,心劍)”.
The path of practice ultimately involves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behind the movement of this world, as well as recognizing its substance. This leads to proper guidance of human life and a change in values and consciousness, ultimately resulting in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When we refer to the principles behind the movement of the world, we are not speaking of something grand or profound. Rather, we are referring to “the basic principles” that govern the movement of all things, and their reality.
We are speaking of the flow and reality of the energy that moves all things.
Therefore, the fundamental basis of martial arts training is the “flow of energy”.
When one is able to follow the natural flow of energy, they become aware of its reality and substance through the body and mind, leading to awakening.
Through martial arts training,
one can als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y and healing principles behind it, ultimately realizing the ultimate goal of human life.
In other words,
the “Way of the Sword” through martial arts training involves understanding the flow of energy and how it works, which becomes the fundamental. The “Way of the Sword” means to naturally move within the flow of energy through sword training and to realize the principles behind it, ultimately leading to the mastery of sword techniques, also known as “Swordsmanship”. Therefore, the “Way of the Sword” refers to the path of practice, which becomes a means to reach the ultimate goal of human life, “Love”.
In the Jinyoung Ssangkum Ryu Haedong Kumdo,
the first in the 21st century to teach the practice of both sword and swordsmanship for its acquirements worldwide.
In sword training, the sword is nothing more than a tool. In the end, through sword training, one must realize the sword of the mind, become aware of the flow of energy through the sword, and thus be able to continue training as a form of healing. Ultimately,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e human mind”.
무술 수련자들은 곧잘 “검의 길” 혹은 “무예의 길”을 자주 이야기 하면서,
검의 기술을 논하고, 검의 육체적 수련을 이야기 하기도 하며,
마음 수련, 더나아가 정신 세계와 연결하여, 곧잘 써먹기도 한다.
오늘 오전에도 누군가가 패북을 통해 해외 세미나를 통해
검의 술기를 논하면서 검의 길을 뒤죽박죽 이야기하며서
좀 더 있어보이려는 듯, 그것도 영어와 함께, 노력하는 것이 보인다.
육체적 한계를 버티면서 하는 운동에서 느낄 수 있는
현실에서 벗어난 마음의 상태나 특별하게 가질 수도 있는 느낌을 가지고
심오하게 신비스럽게 뭔가를 알아차린 것 같이 말하기도 한다.
상기의 이야기가 꼭 틀리다는 것이 아니라,
좀 더 확실하게 “기본”을 알 수있다면,
좀 더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에
본인의 경험과 생각으로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설명해 본다.
“검의 길”은 곧 “수행의 도”를 일컫는 것이며,
“활인검의 이치”와 “마음의 검”을 깨닫게 되는 것을 말한다.
“수행의 도”는 결국 이 세상이 움직이는 이치를 깨닫는 것이며,
또한 그것의 실체를 알아차리는 것이다.
왜냐면 그게 인간 삶을 올바르게 인도하게 되며,
올바른 가치관과 의식의 변화를 가져와서 나의 생각을 바꾸게 되고, 삶의 질이 개선 되기때문이다.
세상의 이치를 움직이는 이치라고 하니까, 뭔가 거대하고 심오한 이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만물이 움직이는 기본 이치와 그것의 실체를 말하는 것으로
만물을 움직이는 기운의 흐름과 실체를 말한다.
그래서 무예 수련의 가장 근원적인 기본이 “기운의 흐름”이며,
그 자연의 기운을 따라갈 수 있을 때,
기운의 실체를 몸과 마음으로 자각하게 되어 그게 깨우침으로 연결되며,
무예 수련을 통한 철학이나 치유의 이치를 몸과 마음으로 터득하며,
인간 삶의 궁극적 목적을 알아차리고,
보다 더 나은 무예 수련과 보다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즉 무예 수련을 통한 “무술의 도”는
기운의 흐름을 알아차리고,
어떻게 작동되는 지를 알아차리는 것이
기본이 된다.
즉 무술의 도가 곧 “검의 길”이 되며, 그것은
검수련을 통한 기운의 흐름 속에서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기운이 흐르는 이치를 깨닫고,
검의 수련을 터득하는 것이
검의 도라고 하며, 그게 검의 길이다.
따라서 “검의 길”이란
“수행의 도”를 말하는 것이며,
인간삶의 궁극적 목표인 “사랑”에 도달하는
하나의 수단이 된다.
진영쌍검류 해동검도에서는
21세기 처음으로 기무와 쌍검 수련을 통해
그것을 가르치고 있다.
검 수련에서
검은 하나의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결국 검수련을 통해 마음의 검 (심검의 이치)을 깨달아야,
검을 통한 기운의 흐름을 알아차리게 되어
힐링으로 이어지는 수련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마음”이다.
Leave a Reply